진삼국사기표(進三國史記表)
臣(신) 富軾(부식)은 사뢰오니, 古代(고대:중국)의 列國(열국)에서도 각기 史官(사관)을 두어 時事(시사)를 기록한 일이 있으므로, 孟子(맹자)는 가로되 "晉(진)의 乘(승), 楚(초)의 檮杌(도올), 魯(노)의 春秋(춘추)가 다 한 가지라"고 하였습니다. 우리 東方三國(동방삼국)에 있어서도 歷年(역년)이 오래되어 마땅히 그 사실을 書冊(서책)에 기록하여야 할 것이므로, 老臣(노신)을 명하여 이것을 編修(편수)케 하심인데, 스스로 돌아보건대 부족함이 많아 어찌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생각건대 聖上陛下(성상폐하)께옵서는 唐虞(당우)의 文思(문사)를 갖추시고 夏禹(하우)의 勤儉(근검)을 본받으시어 바쁘신 餘暇(여가)에 前代(전대)의 書史(서사)를 博覽(박람)하셔서 말씀하기를, 지금의 學士大夫(학사대부)가 五經(오경)·諸子(제자)의 書(서)라든지, 秦漢歷代(진한역대)의 史記(사기)에 대하여는 혹 널리 통하여 자세히 말하는 사람이 있으나, 우리 나라의 事實(사실)에 이르러선 도리어 茫然(망연)하여 그 始末(시말)을 알지 못하니 매우 유감된 일이다, 더구나 新羅(신라)·高句麗(고구려)·百濟(백제)의 三國(삼국)이 鼎立(정립)하여 능히 禮(예)로써 中國(중국)과 교통한 때문에 范曄(범엽)의 漢書(한서:후한서)라든지 宋祁(송기)의 唐書(당서)에다 그(三國(삼국)의) 列傳(열전)이 있지만, 그 史書(사서)는 자기 國內(국내)에 관한 것을 상세히 하고 外國(외국)에 관한 것은 간략히 하여 자세히 실리지 아니하였고, 또 그(三國(삼국)의) 古記(고기)로 말하면 글이 거칠고 졸렬하고 事蹟(사적)의 遺漏(유루)가 많아, 이런 까닭에 임금의 선·악이라든지 臣子(신자)의 忠(충)·邪(사), 나라의 安(안)·危(위), 人民(인민)의 治(치)·亂(난)에 관한 것을 다 드러내어, 써 후세에 勸戒(권계)를 보이지 못하였으니, 마땅히 三長(삼장)의 才(재)를 얻어 一家(일가)의 역사를 완성하여 이를 萬世(만세)에 끼치어 日星(일성)과 같이 환하게 하고 싶다고 하셨습니다.
臣(신)과 같은 자는 본래 三長(삼장)의 才(재)도 없고 또 깊은 知識(지식)도 없으며 老年(노년)에 이르러서는 더욱 날로 정신이 혼몽하여, 비록 讀書(독서)에 부지런히 하여도 책만 덮으면 곧 잊어버리며, 붓을 잡아도 힘이 없고 종이를 대하면 죽죽 내려가지 아니합니다. 臣(신)의 學術(학술)이 이와 같이 淺薄(천박)하고 前代(전대)의 事蹟(사적)이 저와 같이 아득합니다. 이러므로 한껏 精力(정력)을 다하여 겨우 卷冊(권책)을 이루었으나 결국 보잘것이 없어 스스로 부끄러울 뿐입니다.
바라오니 聖上陛下(성상폐하)께옵서 이 疏漏(소루)한 編纂(편찬)을 양해하여 주시고 妄作(망작)의 罪(죄)를 용서하여 주소서. 이것이 비록 名山(명산)에 秘藏(비장)할 거리는 되지 못하나 간장항아리 덮개와 같은 無用(무용)의 것으로는 돌려보내지 말기를 바랍니다. 臣(신)의 구구한 妄意(망의)는 天日(천일)이 비추어 내려다볼 것입니다.